|
아하스 시대에 젊은 여자가 낳은 아들이 성장할 무렵 두 대적(아람과 북왕국 이스라엘)이 멸망할 것이라는 예언 ②장차 동정녀에 의해 태어날 그리스도에 대한 예언(마태복음 1장 23절에 의한) 등 2중의 의미를 갖는다고 설명한다. QA(Question & An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13.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람왕과 동맹하려하여 외교적 마찰 때문에 반역하였다. 베가는 왕이 되어 앗수르를 버리고 아람과 동맹하고 유다를 쳤다.
n. 이스라엘 19대 왕 베가
베가는 유다왕 웃시야 52년에 왕이 되어 20년을 다스렸다.
유다왕 아하스의 요청으로 앗수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모스처럼 이사야도 이른 바 야훼의 날이 심판의 날로서 다가오기를 바라면서(2:6-21), 아시리아를 그 심판의 도구로 보았다(5:26-29) 그는 유다 나라가 내부에서부터 무너져 파멸의 구렁텅이로 던져지고, 주민은 형편없이 줄어 극소수만이 남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1.2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람들에게 자신의 영광을 증거함으로써 하나님께 유다에 대한 징벌을 선언 받았습니다. 이러한 역사를 통하여 성도는 모든 일이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 잘될 때에 더욱 조심하여 영적으로 깨어 기도하는 지혜를 얻어야 하겠습니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다만이 독립국으로 명맥을 이어나갔다. 유다의 히스기야 왕은 북이스라엘의 멸망 몇해전(B.C727년 왕하18:9-12)에 유다의 왕이 되었다. 히스기야는 처음에 아버지 아하스와 함께 유다를 공동 통치하였다(왕하18:13). 이 기록에 따르면 히스기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7.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