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리한 근로계약이나 취업규칙을 시행하는 것은 신의칙에도 반한다고 할 수 있다.
2) 취업규칙과 근로계약간의 관계
취업규칙과 근로계약 간에는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이 적용되며, 취업규칙에 미달하는 근로계약은 항상 무효가 된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법 II”에서는 이를 반대함.
연봉제의 실시도 강행법규에 어긋나면 안 된다. 근로기준법은 근로자 보호를 위해 경직되어 있어 연봉제의 도입에 제약이 따른다. 박종희,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에 대한 법이론적 검토와 체계상 재구성 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단체협약의 불이익한 변경은 노조법 제35조의 효력 확장으로 비조합원에게도 효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와 퇴직금지급
* 근로관계의 성립 -채용내정-
|
- 페이지 4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4.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하고 전면 재검토하는 [한-미 SOFA 개정 특별위원회] 구성도 결의할 것을 제안한다. I. SOFA 협상의 진행과정
II. SOFA 협상에 대한 미국의 입장
III. SOFA에 대한 미국입장에 대한 반박
IV. SOFA 개정에 대한 정책제언
V. 맺는말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칙을 명문화해야 한다
3. 위법한 근로자공급에 대한 규제의 초점을 공급사업주에서 사용사업주로 전환해야 한다
4. 노동조합에 의한 근로자공급사업의 허가요건을 구체화하고 강화해야 한다
Ⅵ. 노동법과 비정규근로자
Ⅶ. 노동법과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