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목민 이야기, 꿈엔들, 2005.
김호동, “고대유목국가의 구조”,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
르네 그루쎄, 김호동 외2 역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박한제 외3, 유라시아 천년을 가다, 사계절, 2002.
스기야마 마사아키, 유목민이 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위구르가 멸망한 후 북아시아세계에는 유목국가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위구르제국이 초원의 마지막 유목제국이었던 것이다.
轉. 結論
홀연히 나타나 고대 서아시아의 제국을 무너뜨린 뒤 갑자기 북방으로 돌아간 스키타이(B.C 6-3C), 게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유목문화란?
⦁ 유목문화의 특색?
⦁ 농경문화란?
⦁ 유목국가와 농경국가의 차이점?
◯ 다른쪽으로 유목국가와 농경국가는 해석이 가능하다.
• 정복왕조란?
⦁ 정복왕조의 특색?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새로운 수준을 개척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수시력이었다. 반대로 도자기 제작기술과 인쇄술 등 중국의 문화가 서방으로 전래되기도 했다. 1. 유목국가와 정복 왕조론
2. 몽골제국의 성립과 원의 중국체제
3. 원대의 동서문화 교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2.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목국가의 멸망에는 다른 설명이 필요하다. 그들은 끊임 없이 이동해야 했기에 ‘쌓을’ 여유가 없었다. 흐르는 물이 쌓이지 않듯이 축적이 되지 않으면 세월이 흘러도 남는 것이 없다. 전 유럽에, 전 지구에 산소를 공급하던 피톨들에게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