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84건

하나의 상징이었다 하겠다. 李迎春, 尤菴 宋時烈의 尊周思想(淸溪史學 2, 1985), 161쪽. Ⅰ. 학파의 분화 Ⅱ. 이기철학의 발달과 전승 Ⅲ. 17세기 성리학의 추세 1. 율곡학파 2. 퇴계학파 3. 퇴율절충론 Ⅳ. 존주론과 명분주의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학파 내에서 조금 색다른 성향을 띠게 되는데 이는 후에 성호학파로 연결되고 다시 다산의 수사학으로 연결된다. 율곡학파는 우암때 노론계와 소론계로 나뉘는데 소론계는 율곡학파의 정통성과 멀어지면서 퇴율절충론으로 기울기도하고 양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을 계승한 사계, 우암, 수암이 어떻게 퇴계의 호발설을 비판하고 어떻게 율곡의 설이 주자의 본령에 일치함을 논증하는지를 대충 살펴보았다. 우암에서 수암에 이르는 과정에서 율곡학파는 지나치게 율곡의 기발이승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성리학)의 전파 Ⅱ. 주자학(성리학)의 기본이념 Ⅲ. 주자학(성리학)의 학파분화 Ⅳ. 주자학(성리학)의 퇴계학파 Ⅴ. 주자학(성리학)의 율곡학파 Ⅵ. 주자학(성리학)의 퇴계율곡절충파 Ⅶ. 주자학(성리학)과 예학 참고문헌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학파와 율곡학파로 규정 지으려는 다카하시의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조선의 리기철학은 리를 목표로 하고 기를 제어해야 한다고 하는 주장에 조금도 의심치 않았던 철학이다. 리 중심의 철학이 조선에서 장구하게 지속될 수 있었던 이유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