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소의 실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원음소는 /P/T/K/F/S/처럼 대문자로 표기한다.
) 오정란(1993)「현대 국어음운론」, 형설출판사 1. 음소의 정의
2. 음소와 변이음을 구별하는 세 가지 규칙
음소대립
결합 변이음
자유 변이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소
음소는 의미의 구별을 나타내는 음운론의 최소 단위. 또한 음절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초성, 중성 및 종성
(표기 시 / /을 씀) 1. 머리말
2. 음운단위
2.1. 음성
2.2. 음소
2.3. 변이음
2.4. 분절음
2.5. 초분절음
2
|
- 페이지 8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국어음운론(國語音韻論, Korean Phonology)
- 음운론 : 특정한 언어의 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언어의 기능성 연구.
인간의 말소리(의사전달에 요구되는 음성기관을 통해 나온 소리)에 국한.
(The system of sounds in a language)
- 음성학 : 음의 실체를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된다. 겹홀소리로 내는 「위」는 일반적으로〔 i〕로 내며, 〔wi〕는 말을 과장해서 발음할 때에 나타나난다.
/ /
이 음소 다음에는 /i/만이 이어 날 수 있기 때문에, 변이음이 있을 수 없다. (1) 닿소리
(2) 닿소리 변이의 규칙
(3) 홀소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음이 나타나지 않고, B음이 나타나는 자리에는 A음이 나타나지 않음을 말한다. 상보적 분포를 이루는 두 음은 하나의 음소로 묶인다.예를 들어 부부를 발음할 때 pubu가 되는데 여기서 b는 p의 변이음이다. 자유변이는 같은 음성 환경에서 말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4.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