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된다. 겹홀소리로 내는 「위」는 일반적으로〔 i〕로 내며, 〔wi〕는 말을 과장해서 발음할 때에 나타나난다.
/ /
이 음소 다음에는 /i/만이 이어 날 수 있기 때문에, 변이음이 있을 수 없다. (1) 닿소리
(2) 닿소리 변이의 규칙
(3) 홀소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소의 실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원음소는 /P/T/K/F/S/처럼 대문자로 표기한다.
) 오정란(1993)「현대 국어음운론」, 형설출판사 1. 음소의 정의
2. 음소와 변이음을 구별하는 세 가지 규칙
음소대립
결합 변이음
자유 변이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4.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다름에 대해서 민감하지 않아도 좋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변별적 기능을 발휘한다는 것과 본토박이들이 구별한다는 것과의 사이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어의 [ p ] 와 [ p’]가 분명히 구별되는 것은 이것이 말의 뜻을 달리하는 음소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두번째는 음소배열제약이다.
한 언어의 토박이 화자는 해당 언어에 쓰이는 변별적 어음, 즉, 음소들이 해당 언어에서 어떻게 배열되는가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 다시 말해 화자는 자기가 사용하는 말에서 어떤 음소의 배열이 가능하고 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이음이 근대국어의 단계에서 다른 음성 환경으로 일반화되어 경구개음소로 전환되면서 파생된 t-구개음화, 치찰음 앞에서 단모음과 y계 상향 이중모음간의 구분의 제거와 같은 일련의 변화들과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전설모음화는 다른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