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된다.
(薏苡理脾,而兼熱補肺,筋寒則急,熱則縮,濕則縱。)
의이인은 비를 다스리며 청열하면서 폐를 보하며 근육이 차면 급하며 열하면 수축하며 습하면 늘어진다.
(然寒濕久留,亦變爲熱。)
한습이 오래 머무르면 또한 변하여 열이 된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이인
(風濕痛。)
의이인은 풍습통을 치료한다.
粳米
멥쌀
(煩熱。)
갱미는 번열을 치료한다.
(엿, 쌀강정 당; 食-총18획; xing,qing,tang)
당
(建中。)
엿은 중초를 세워준다.
麻子
마자인
(脾約 秘結。)
마자는 비약과 변비를 치료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이인
[木石]나무와 돌
梔子치자
(食物直出,十個微炒,煎服。)
치자는 물건을 먹으면 직접 나오니 10개를 약간 볶아서 달여 복용한다.
黃蘗황백
(小兒熱瀉,焙硏米湯服,去下焦濕熱。)
황백은 소아 열증설사에 약한 불로 갈아 쌀탕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이인)
복숭아씨 20g, 율무쌀 40g을 물에 달여 찌꺼기를 짜버린 데다 잦 100g을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며 노인들의 변비, 기혈부족으로 온 변비에 쓴다.
18) 꿀
한번에 50-160g씩 하루 2-3번 먹는다. 꿀 100g을 물 400㎖에 풀어서 주사기로 관장을 하면 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內治에, 實者면 瀉黃散이오, 虛者면 菊睛丸이오, 腫者면 薏苡仁湯이니라.
내치에 실자면 사황산이오 허자면 국정환이오 종자면 의이인탕이니라.
견순의 내치에는 실증은 사황산이고,허증이면 국정환이고, 부종은 의이인탕이다. 없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6.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