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탕을 사용한다.
大便自利者면,用六一散 七兩,加吳萸一兩하야,飯丸服이니라。
대변이 스스로 잘 나오면 육일산 240g에 오수유 40g을 가미하여 밥에 환약을 복용한다.
陰虛는 暮劇 須養血이라。
음허탄산은 저녁에 심하니 의당 혈을 배양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麻니라;
마른 사람은 중초에 울열함이 많으니 지실, 황련, 건조한 갈근, 승마이다.
稟受가 素實하며, 面蒼 骨露者면,加枳殼、黃連、皮、厚朴하라;
풍수가 평소에 실하며 얼굴이 창백하고 뼈가 드러나면 지각, 황련, 청피, 후박을 가미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 해수는 병지표야니라.
두현 두통 기침은 병의 지말이다.
經曰: 治病에 必求其本이라 하니라.
경왈 치병에 필구기본이라 하니라.
내경에서 말하길 병을 치료함에 반드시 그 근본을 추구한다고 하였다.
○通用에 二陳湯이니 七情이면 加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淸上瀉火湯이오.
담화통은 심여파니 이진탕에 가금 련이나 혹청공고 청상사화탕이오.
담화 두통은 깨질 듯이 통증이 극심하니 이진탕에 황금 황련을 가미하니 혹 청공고 청상사화탕이다.
如壯實人은, 只宜酒炒大黃을 爲末하야, 茶淸으로 下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약만을 사용하지 못한다.
挾七情者면, 七氣湯, 古參萸湯이오.
협칠정자면 칠기탕 고삼유탕이오.
곽란에 7감정을 끼면 칠기탕 고삼유탕이오.
傷飮食者면, 紅丸子, 保和丸을, 俱姜[薑]湯으로 送下니라.
상음식자면 홍환자 보화환을 구강탕으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