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품에 쓰이는 평어는 작자마다 범주와 의미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덕무는 '淸'字 계열의 평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밖에 '精'字계열, '妙'字계열의 순으로 나타난다. 그만큼 작자의 문학관이 이 평어들을 선호한다는 뜻으로 보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덕무가 『淸脾錄』에서 사용한 '妙'字 계열의 평어는 '妙, 纖妙, 妙絶, 妙解, 敏妙.' 등이 있었다. '妙'는 一字 평어와 二字 평어로 시품을 하였는데, 一字 평어가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妙'字는 '정치함, 절묘함'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600원
- 등록일 2005.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학과 작품
2. 박지원(朴趾源)
(1) 생애 (1737~1805)
(2) 문학
(3) 사상
(4) 작품
Ⅱ.-2 후사가(後四家) 4인 (이덕무 ․ 유득공 ․ 박제가 ․ 이서구)
1. 이덕무(李德懋)
2. 유득공(柳得恭)
3. 朴齊家
4. 이서구(李書九)
Ⅲ. 결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