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가학회 홈페이지 박연호의 원문
박춘우, 『한국 이별시가의 전통』, 역락, 2004
양태순, 『한국고전시가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2003
최철,『고려국어가요의 해석』, 연세대학교 출판부,1996
윤성현,『속요의 아름다움』,태학사, 2007 1.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별이라는 人事의 덧없음과 大同江水라는자연물의 영구성에 대비시키고 있다고 서술하고 제 4연에서는 땅에서 피어나는 아지랑이를 매년 봄 죽은 님 생각 어김없이 도래함을 別淚年年添綠波 곧 매년 계속되는, 남포에서 흘리는 이별의 눈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 돌아오기 힘든 곳이었다. 또한 상인이 하루, 이틀 장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대동강을 넘어 갔을 때에는 장기간 그곳에 채류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성주는 빈번한 교역으로 인한 이별을 하는 님을 외국상인으로 보았다. 고려시대는 인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이승 아니믄 저승에서라도
인연은 갈밭을 건너는 바람
) 7연 : 죽음과 삶 사이의 강은 넓은 것이지만 인연의 바람은 그것도 넘어간다.
뭐락카노, 저편 강기슭에서
니 음성은 바람에 불려서
오냐, 오냐, 오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간이 경과된 다음의 장면으로 보아야 한다. 2연은 전체 연의 ‘기준시제’가 되고 있는 연으로 2연의 상황제시는 1연에서 이루어졌던 임과의 결합이 이별에 의해 지속될 수 없게 된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고독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