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지도의 실태는 丙寅(명종 21, 서역 1566)年, 內弟 尹剛中이 朱書講學을 위해서 來陶, 수개월 후 安東으로 돌아오려 했을 때 그의 부친인 안동부사 尹杏堂公에 보낸 퇴계 선생 自詩에서 충분히 읽을 수가 있다.
-173-
朱門博約兩工程
百聖淵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이유는 주체라는 것은 개인의 올바른 생명력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율곡의 입지(立志)와 성(誠)은 인간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것으로, 특히 인간의 전인격에 관계되는 교육사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몰론 율곡의 사상은 수기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퇴계의 자성록. 국학자료원.
양경자(2003).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김형호(외), 1997, 『퇴계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김민재(2016). 퇴계 사상의 도덕교육적 활용을 위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연구원(2002), 한국의 사상가 10人-퇴계이황, 예문서원 Ⅰ. 서론
Ⅱ. 퇴계이황의 생애
Ⅲ. 퇴계이황의 교육사상
1. 교육이념
2. 교육목적
3. 교육방법
4. 교육적 인간상
5. 교육내용
6. 주요 저서
7. 퇴계의 교육관은 Spranger의 도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교육사철학/교육과학사
퇴계 이황과 도산서원
한국의 유학사상/서광사/황의동
우리에게 있어서 이퇴계는 누구인가/김유혁/항산문고 1. 퇴계 이황의 생애
2. 퇴계 이황의 사상
(1) 이선기후의 이일원론
(2) 격물궁리의 관념론적 인식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