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 서광사, 2001.
. 예문동양사상연구원.박홍식, <다산 정약용>, 예문서원, 2005.
. 고승제, <다산을 찾아서>, 中央日報社, 1995.
. 백민정, <정약용의 철학>, 이학사, 2007.
. 장복동, <다산의 실학적 인간학>, 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한 인간다움에 대한 이해와 확신이 깊어지고 또 그 이해와 확신은 성장의 실현에 더욱 힘쓰는 계기가 된다. 오직 이 길을 통해서만 우리는 진정한 자유에 이르며 그 끝에서 인간됨(仁)을 완성할 수 있다고 정약용은 역설했던 것이다.
마치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7.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시의 성리학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학문을 창조하는 인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동양 사상과 한국 사상 : 윤사순, 을유 문화사, 1987, pp.215∼219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한형조 : 조선유학의 철학적 패러다임 연구, 세계사 1996
정약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즉 교육론은 인성론이자 수양론으로 연결된다. 정약용은 주자 성리학을 비판하면서 원시유학인 공자의 인륜(人倫)개념에 주목한다. 즉 원시유학의 인본주의, 인간다움의 가치로 회귀하여 인물성 동이론 등과 같이 극도로 관념화된 당대 사상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2.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 벗어나기는 했지만 아직은 완성되지 않았다.
17. 다음 내용을 잘 읽어보고, 이 중에서 바르게 말한 것을 두 가지만 고르시오.
① 도덕적 생활에 필요한 요소인 아는 것, 믿는 것, 행 하는 것 중 하나라도 제대로 잘 한다면 도덕적 삶 은 가능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