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하철공사 3,4호선 완전개통 (3호선 독립문∼양재 16.2KM,
4호선 한성대∼사당 16.4KM)
1987 5 15 부산교통공단 1호선 2단계 개통(범내골 ~ 중앙동)
1990 2 28 1호선 3단계 개통(중앙동 ~ 서대신동)
7 13 서울지하철공사 3호선 연장구간 개통(구파발∼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흡연자나 혹은 술을 즐겨마시는 사람이 있다면 불편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가격은 역시 아래칸이 더 비싸다고 한다. 1.<인력 삼륜차=자전거 인력거>
2.<자전거>
3.<버스>
4.<택시>
5.<자동차&오토바이>
6.<지하철>
7.<기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물이 많이 있엇고 우메다역도 지하에 건물들이 이어져 있었다. 1.일본여행에서 실제 접해본 일본의 교통수단을 주제로 선정한 이유
2.일본 교통의 역사
3.일본의 교통수단
1) 도로
1)-1. 인력거
1)-2. 자전거
2) 철도
2)-2. 지하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8.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북경교통
1) 일반버스(公共汽車) 차장, 차표, 1번(路) *노선이 1로 2로....
2) 지하철(地?) 동서선, 순환선. 3元, 5元
3) 택시(出租汽車, 的士) 기본요금10원, 야간할증(23-05시) 15%
4) 인력거 : 관광용
5) 기차(火車) 북경역(北京站)-동쪽역이다 ,
|
- 페이지 6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4.24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력거와 우마차
전차
1899년 '전차폭동사건‘ -> 한동안 정상적 운영이 안됨
1910년대 - 전차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
1920년대 초 - 전차손님이 크게 증가.
당시 서울 시내 대중교통수단은 전차가 전부였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었
|
- 페이지 4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0.3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