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례의 成就難度順序를 말한 것이다. 도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순행순서 : 인물치레 → 사설치레 → 득음 → 너름새(→는 성취순)
역행순서 : 너름새 〉득음 〉사설치레 〉인물치레( 〉는 難度)
한편, 본고는 너름새를 발림이 아닌 판소리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목 차
1. 영웅소설
2. 수호전의 형성과정
3. 수호전의 작자
4. 수호전의 판본
5. 수호전의 인물성격 묘사방법 및 주요인물
6. 수호전의 구성
7. 수호전의 주제
8. 수호전의 예술적 가치
9. 수호전의 영향
10. 감상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물 치레 둘째는 사설 치레 그 지차 득음이오 그 지차 너름새라 이 말은 예나 지금이나 불변의 진리인 듯 하다. 첫째는 용모가 잘 나야 하고, 다음은 가사 내용이 좋아야 하고, 다음은 음악적으로 완성도가 높아야 하며, 마지막으로 몸짓의 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추측해 보았다. 그 결과 <춘향가> 결연대목은 <성조가> 계열의 사설을 토대로 한 서술방식으로부터 인물 내면의 표출에 중점을 두고 각종 치레들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점차 변모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인물들의 형상도 이와 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변모과정을 추측해본 결과 <춘향가>는 서술방식으로부터 인물 내면의 표출에 중점을 두고 각종 치레들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점차 변모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변모는 19세기 말엽 혹은 그 이후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