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조대 초반 병력 확보와 군량 공급을 중심으로-」,『군사』109,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장정수, 2017,「병자호란 이전 조선의 對後金(淸) 방어전략의 수립 과정과 그 실상」,『朝鮮時代史學報』81, 조선시대사학회 Ⅰ. 서론
Ⅱ. 외부적 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2.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조대 삼도 대동법 논의와 경과> <<한국역사연구 121>> 한국사연구회 2003.
7. 이정철, <<대동법: 조선최고의 개혁>> 역사비평사 2010.
8. 이정철, <대동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공공성 관념과 현실> <<역사비평사 94>&g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조대 정국의 동향과 산림의 역할」『대구사학』제41집 대구:대구사학회
오수창(1985).「仁祖代 政治勢力의 動向」『韓國史論』13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오수창(1991).「인조조의 반정공신세력에 관한 연구의 분석」『역사비평』13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8.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조대 조청관계의 변화,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윤미선, 2006 Ⅰ. 머리말 (및 주제 선정이유)
Ⅱ. 인조반정 이후 정치와 사상의 변화
1. 정치적 변화
2. 사상적 변화
Ⅲ. 국난극복을 위한 정치적 대립
1. 김상헌의 척화론
가. 사상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선정이유
2. 이괄의 난
1) 배경
2) 전개 및 결과
3. 이괄의 난이 한국사에 미친 영향과 그 원인
4. 이괄의 난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