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화론과 척화론으로 또다시 대립하게 된다. 이 두 인물에 대한 당대의 평가로 말할 것 같으면 성리학적 명분과 의리를 저버렸다고 평가되는 최명길이 비난을 받는 입장이었고, 오히려 의리와 명분을 중히 여겼던 김상헌을 호평하고 있다. 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김상헌이라는 인물에 대한 평가는 병자호란 시기에 행적만으로 국한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김상헌은 자신의 삶 전반에 걸쳐 유학자로서의 의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자신이 관철하고자 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2003년)
『역사비평 1998 봄 통권 42호』(편집부, 역사비평사, 1998년)
『대동기문(중)』(강효석 , 명문당, 2000년) 1. 시대적 배경
2. 최명길의 생애 및 업적
3. 주화론(主和論)
4. 읽기자료-최명길에 얽힌 설화
5. 후대의 평가
6. 참고문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0.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최명길 등 주화론자들과 김상헌과 정온등 척화론자 사이의 논란도 1637년 2월 청군의 예친왕(睿親王) 도르곤에 의해 강화도가 함락되고 조선 국왕의 비빈과 왕자, 종실, 백관 및 그 가족들이 포로가 되어 삼전도의 청 태종 본진에 억류되자 강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2.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최명길, 김신국 등은 적진을 왕래하며 조선 측의 항복 조건을 제시하고, 청군 진영에서는 용골대, 마부대 등의 사신들이 남한산성으로 들어와 회담에 응하였다. 조약서에 명시된 청의요구 사항은 총 열한 가지였다. 청에 대해 신하의 예를 갖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