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길과 김상헌 인물비교와 평가(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명길과 김상헌 인물비교와 평가(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및 주제 선정이유)

Ⅱ. 인조반정 이후 정치와 사상의 변화
1. 정치적 변화
2. 사상적 변화

Ⅲ. 국난극복을 위한 정치적 대립
1. 김상헌의 척화론
가. 사상적 바탕
나. 명·청에 대한 정치적 행보
2. 최명길의 주화론
가. 사상적 바탕
나. 명·청에 대한 정치적 행보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서인 중 한명이 김상헌이다. 김상헌은 공신세력들의 특권에 대해 가장 먼저 비판의 목소리를 냈던 절개 있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인물은 공서파와 청서파의 대립에서 그친 것이 아닌 병자호란 이후 어떻게 국정을 운영할 것인가를 두고 주화론과 척화론으로 또다시 대립하게 된다. 이 두 인물에 대한 당대의 평가로 말할 것 같으면 성리학적 명분과 의리를 저버렸다고 평가되는 최명길이 비난을 받는 입장이었고, 오히려 의리와 명분을 중히 여겼던 김상헌을 호평하고 있다. 이는 당대의 최고의 가치가 현실적인 것이 아닌 다소 추상적이지만 조선의 정체성의 호흡을 불어넣는 성리학적 명분과 의리였음을 알 수 있다. 때문에 국난을 극복하기 위해 무던히도 애썼던 최명길과 그의 정치사상은 빛을 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명맥을 잇는 사상이 김상헌의 사상을 계승하여 내려옴에 따라 조선 후기로 갈수록 명분과 의리를 맹목적으로 중시하는 풍토가 형성되었다. 이는 조선시대에 새로운 가치가 영입되는 그날까지 최명길에 대한 재조명하기 어려운 상황을 야기했다. 즉, 현대의 실리적인 가치가 조선에 영향을 미친 후에야 최명길에 대해 다시 한 번 재조명할 기회를 얻은 것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당대의 가치나 현대의 가치로만 판단하면 안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본고는 당대의 가치와 현대의 가치를 잣대로 두 인물을 평가하자면 당대의 평가와는 달리 최명길의 입장에 서서 지지하고 싶다. 우선 최명길의 주화론은 당대의 사류들의 최고의 가치이자 사상의 바탕이 된 성리학적 요소도 다분히 포함되어 있다. 그 근거로 청의 견제에 불구하고 명과의 의리와 명분의 끈을 놓지 않고 이어가려하는 모습을 들 수 있다. 또한 국가와 왕조의 존립을 가장 우선시하는 것 또한 신하의 도리를 다하는 충의 모습을 가장 실천적으로 보여주는 성리학적 요소라 생각한다. 이와 더불어 최명길의 주화론은 현대적 가치에도 만족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다. 맹목적인 충이 아닌 상황에 맞는 임기응변이 뛰어난 점을 미루어볼 때 현실적이며 실천적이고 실리를 따져 정책을 운영해 나가려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청의 침략에 군사적 대응이 불가할 것일 판단하고 강화를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려한 모습을 통해 현실에 맞게 정국을 운영해 나가려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만하다.
*참고문헌
- 최명길, 인조반정의 주역이 주화를 역설한 까닭은?, 내일을 여는 역사 p264, 정두영, 2015
- 최명길의 주화론과 대명의리, 한국사연구, 허태구, 2013
- 17세기 초 김상헌과 최명길의 양면적 역사인식, 영산대학교 東洋古典硏究 第45輯, 정성식, 2011
- 청과의 외교 실상과 병자호란, 오수창, 한국사 시민강좌 36, 2005
- 17세기 중반의 정치세력과 정치운영. 오수창 25회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92
- 조선초기의 對外征伐과 對明意識,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이규철, 2013
정묘병자호란기 조선사대부의 전쟁관, 고대대학교 대학원, 한가람, 2016
인조대 조청관계의 변화,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윤미선, 2006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2.09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5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