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않으나, 앞의 /,으/가 줄어진다.
홈(←+오+ㅁ)
다만 「-」에 연결될 때는 //가 줄어지지 않고, 「-오-」가 「-요-」로 바뀌는 수도 있다.
/이/+{오/우}: 이 경우에는 이 두 소리가 한 음절의 겹홀소리 (요,유)로 축약된다.
걷 인칭법
대상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9.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칭법과 1인칭 의도법으로 구분하고, 연결형에서는 주체-대상법으로 구분하고 있다. 허웅(1975:731)에 의하면 선어말 어미 ‘-오-/-우-’가 결합하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는 어미에는 ‘-다, -으니, -으려, -은, -을, -으나, -가, -고, -ㄴ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칭법, 화자표시법)
종결형의 \'-오-\'는 일반적으로 주어가 제1인칭 대명사 \'나, 우리\'등 화자일 때 나타난다.
(영어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현재이면 동사에 \'(e)s\'가 붙는 현상과 비교된다.)
가. 내 마 命終호라 (월인석보 9:33 상)
나. 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칭법 대상법 선어말 어미, 믿음이나 느낌 표현의 선어말 어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고영근(1997:141-142)에서는 다른 어미가 오지 않아도 단어를 완성시키는 “폐쇄 형태소”를 “어말 어미”라고 하고, 다른 어미가 오지 않으면 단어를 완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