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립
2) 형식사로서의 미술사
3) 정신사로서의 미술사
4)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1) 예술심리학으로서의 미술사
(2) 도상해석학으로서의 미술사
5) 사회사로서의 미술사
6) 문화사로서의 종합적 미술사
2. 고유섭과 일제시대의 미술사학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머리말
2. 조선 향토색론의 대두
3. 향토문예
4. 조선 향토색 논의
1) 조선향토색의 전개
2) 조선 향토색 논란
5. 아카데미즘으로서의 조선 향토색- 조선미전을 중심으로
1) 조선미술전람회의 성향
2) 조선미전에 나타난 조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제시대 박물관」, 미술사학연구회, 2001.
김인덕,『식민지시대 근대공간 국립박물관』, 국학자료원, 2007.
강헌, 『강헌의 대중문화사: 자유만세 1945~1975, 권력이 대중의 문화를 억압하다』, 이봄, 2016.
김성민, 『일본을 금하다: 금제와 욕망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래 미술교과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능이 뛰어난 교사보다는 교육학적 지식과 예술가적 기질, 작품을 판단하고 비평하는 능력, 미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안목, 미술사학적 지식 등을 두루 갖춘 교사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4.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술사 전개 요인으로서의 타자」 『미술사학보』 18집
방병선 ‘야나기 민예론’“인간성 부정하는 공예” <한겨레신문>2002년 8월 2일자
出川直樹, 정희균 역 『人間復興の工芸―「民芸」を超えて』平凡社ライブラリ,『인간 부흥의 공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7.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