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간이나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자 신라는 이 성을 그대로 둔 채 회군하였다.
신라군이 회군한 이후 임존성 공격은 당군이 맡게 되었다. 대규모의 신라군이 공격하였다가 실패한 것을 본 당군은 다른 방법으로 임존성을 하락시키기로 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0.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존성(충남예산 봉수산) , 주류성(전북 부안읍 부근)
*복신은 임존성에 웅거 당군 공격, 사비성 포위했으나 나당연합군 공격으로 임존성으로 퇴각
내분으로 복신이 도침 살해, 당군의 반격으로 사비성 동쪽 외곽이 뚫림
후퇴한 복신군 진형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존성만은 지수신이란 장수에 의해 지켜지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성읍들이 주류성의 함락과 동시에 항복하고 말았으므로 임존성은 고립되어 있었다. 그러나 임존성을 근거로 북부에서 가장 영향력이 컸던 흑치상지와 사타상여 등이 항복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성격과 기능상 신라의 집사부와 같은 기관이었다.
17. 청동기를 기반으로 한 국가는?
① 고조선 ② 고구려
③ 부 여 ④ 옥저
18. 아라비아의 영향을 받아 만든 것은?
① 측우기 ② 일성정지의
③ 칠정산회편 ④ 규 형
19. 원의 압력에 의해 우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머리말
2 백제의 멸망과 국외정세
1) 7세기 국외 동맹체제
2) 왕실의 내정 상황
3) 백제의 멸망
3 흑치상지의 부흥운동과 임존성의 관계
4 흑치상지의 항복과 당나라 활동
5 맺음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