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 일조각, p94)
하여 예산, 혹은 덕산지역을 중심으로 추정하고 있다. 때문에 임존성은 흑치상지의 거점 즉, 흑치상지의 가문의 경제적 기반이 있는 곳으로 추정되며 그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었던 이유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군이 30일간이나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자 신라는 이 성을 그대로 둔 채 회군하였다.
신라군이 회군한 이후 임존성 공격은 당군이 맡게 되었다. 대규모의 신라군이 공격하였다가 실패한 것을 본 당군은 다른 방법으로 임존성을 하락시키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100원
- 등록일 2010.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존성(충남예산 봉수산) , 주류성(전북 부안읍 부근)
*복신은 임존성에 웅거 당군 공격, 사비성 포위했으나 나당연합군 공격으로 임존성으로 퇴각
내분으로 복신이 도침 살해, 당군의 반격으로 사비성 동쪽 외곽이 뚫림
후퇴한 복신군 진형성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존성이다. 이 임존성을 지킨 장수는 지수신이다. 주류성을 함락한 나당 점령군은 아직 항복하지 않은 웅진 이남의 성들을 공략한 후 방향을 돌려 북쪽의 성들에 대한 공격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두량윤성을 비롯한 나머지 성들을 함락시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존성만은 지수신이란 장수에 의해 지켜지고 있었으나 대부분의 성읍들이 주류성의 함락과 동시에 항복하고 말았으므로 임존성은 고립되어 있었다. 그러나 임존성을 근거로 북부에서 가장 영향력이 컸던 흑치상지와 사타상여 등이 항복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