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 양명 대장경의 낙혈.
豊隆 : 족 양명 위경의 낙혈.
公孫 : 족 태음 비경의 낙혈.
通里 : 수 소음 심경의 낙혈.
支正 : 수 태양 소장경의 낙혈.
飛揚 : 족 태양 방광경의 낙혈.
大鍾 : 족 소음 신경의 낙혈
內關 : 수 궐음 심포경의 낙혈
外關 : 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표리의 관계에 있다. 인체는 사용하고 남은 여분의 수분은 소변이나 땀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하는데. 기후가 더울 때는 땀으로 추울 때는 소변의 양으로 조절을 하게 된다.
水의 태과불급에 의한 특징은 신실(腎實)이 되면 기력이 허약해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오행 역시 또 하나의 약속이며 틀일뿐이다. 음양오행은 삼라만상의 이치를 낚는 그물이다. 그물은 고기를 잡으면 그 역할을 다하는 것이다. 음양오행을 통하여 자연의 ‘스스로 그러한’ 뜻을 알고 나면 음양오행을 버려야 한다. 배는 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5.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의 불균형을 균형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 기본 원칙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음양의 어느 하나가 편승하거나 편쇠할 때는 서로 다른 측면에 영향을 주므로 치료에서는 이러한 상호관계를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임상에서 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음양실조 : 병리적
4)질병을 진단하는 총강
(소,음양응상대론)『선진자 찰색안맥 선별음양』
陽症
表, 熱, 實
陰症
裏, 寒, 虛
5)치법과 용약의 근거
약물의 성능과 작용을 음양으로 분류 오행학설로 발전
예)양 온열, 조열, 신감 승발작용
음 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