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56건

서 부터라고 생각된다. 삼도설장고가락이 장고를 통해서 연주자의 기량과 음악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면 삼도농악가락은 꽹과리, 징, 장고, 북의 사물을 가지고 우리의 가락속에 잠재되어 있는 음양의 원리와 자연의 이치를 수많은 세월을 통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장구·바라로, 경기도 남부에서는 피리·해금·대금·장구·징으로 편성된다. 일부 무무(巫舞)의 반주에는 꽹과리·징·장구를 쓰기도 한다. 충청도·전라도·경상도 남서지역에서는 피리·대금·해금·장구·징으로 편성된다. 동해안 일대에서는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징·장구·북·소고와 관악기인 호적·나발이 있다. 악기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는데, 경기 북부에서는 바라를 쓰며, 영동지역에서는 소고를 소고와 법고로 나누기도 한다. 영남지방에서는 땡각이 쓰이기도 한다. 풍물은 꽹과리가 주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장구 등이 쓰이고, 동살풀이권인 전라남도지방에서는 진양과 대왕놀이장단도 쓰인다. 악기편성은 향피리·젓대·해금·장구·징으로 이루어진다. 선율은 신악(神樂)과 무악(巫樂)의 특징인 무정형의 악장(樂章)으로 되어 있어 즉흥연주가 가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징은 시나위와 같다. 악기편성은 피리·대금·해금·장구·징이 원칙이다. 장단은 살풀이 장단이고, 가락은 시나위 가락과 같다. 살풀이 가락은 비고정가락(非古定旋律)이므로, 대개 즉흥적인 가락을 연주하고, 장이나 마루의 구분도 없다. 살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