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5건

장절공(壯節公) 신숭겸(申崇謙)과 김낙(金樂)을 추도하여 지었다는 《도이장가(悼二將歌)》와 정서(鄭敍)가 유배지(流配地)에서 임금을 그리워하며 지었다는 《정과정곡(鄭瓜亭曲)》은 그 형식이 다소 변화하기는 하였지만 아직도 향가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9.2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장절공유사(平山申氏高麗太師壯節公遺事)> 원문 2. 해독 <양주동> 니믈 오잎오싶힝 밑힝밑 까하다 밋곤 넉시 가샤딪 사밑샨 벼슬마 힝힝져 힝힝져 빛라며 아리라 그다 두 功臣여 자최다 나토샨뎌 <정열모> 님을 굳휴싶힝 밑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정과정곡 정서는 일찍이 이자겸의 권세에 맞서고, 묘청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개경쪽에서 공을 세운 아버지 정항 덕분에 음사로 진출해서 벼슬이 정5품인 내시낭중에 이르렀다. 인종에 이어서 자기와 이질인 의종이 왕위에 오르자 의종의 아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정과정곡 (鄭瓜亭曲) 악학궤범 비연시 귀양살이의 억울함과 연군(戀君)의 정을 노래함 10구체 향가의 잔영 고려 의종 시 정서가 지음 도이장가 (悼二將歌) 평산신씨 장절공유사 8구체 2연 개국 공신 김낙과 신숭겸 두 장군의 공덕을 예종이 찬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정과정곡>과 비교해볼 수 있다. [정답 및 해설 - 정답 1번] 이 작품은 고려시대 1120년에 지어진 것으로, 「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에 제작동기와 함께 실려 있다. 그밖의 창작경위에 관해서는 <고려사>권 14, <명신행적>, <대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