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1건

굿의 종류*** 1. 재수굿 2.궂은 굿 3. 신굿 (1)씻김굿 ①곽머리 씻김굿 ②날받이 씻김굿 ③초분 본장때의 씻김굿 ④혼맞이굿 ⑤혼건지기굿 ⑥저승혼사굿 ⑵도신 ⑶성주굿 ⑷제왕맞이 ⑸사자맥이 ⑹삼설양굿 ***무복·무구·무악과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3.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1. 굿의 의미 굿 이란? 무속의 행위로 불행을 예방하고 평안을 유지하고자 무당에 의해 행해지는 종교적의식. 2. 굿의 기능 집안, 마을, 국가의 안전과 태평 기능 치병기능 영혼천도기능 조상, 신령접대기능 놀이기능 전통문화 전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9.07.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굿판이 벌어지는 현장에서 살펴 볼 수 있다. 한국 무속의 가장 기본적인 종교 의례의 하나로서 천신굿, 또는 재수굿이 있는데, 이는 일련의 삶에서 부단히 생겨날 수밖에 없는 각종 부조화의 상황을 천지인(天地人)의 합일(合一)이라는 본래의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기원 2.2.3.2. 부귀를 기원 2.3. 회갑과 떡 2.4. 상례와 떡 2.5. 제례와 떡 2.5.1. 백설기 2.5.2. 시루떡 2.5.3. 현대의 제수용 떡. 2.6. 굿과 떡 2.6.1. 서울굿 2.6.1.1. 내림굿 2.6.1.2. 진적굿 2.6.1.3. 재수굿 2.6.1.4. 진오귀굿 3. 결론 참고문헌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인으로는정경태,김월하,이계석,유종구,박기옥 등이 있다. ⅱ.속악 1.무악(巫樂) 신라시대의 선악에서부터 유래하였고 무당들이 굿을 하는 절차에 따라 악(樂),가(歌),무(舞)로 나눌 수 있다. ① 오귀굿-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한 굿 ② 재수굿-안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