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압 및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직류전압을 정확히 계산한다.
※ 정확한 이다.
4. 실험
▶ 실험 #1 브리지 정류회로
● 브리지 정류회로의 직류출력전압의 이론값과 측정값을 구한다.
이론값
2차 근사
DVM
12.2v
17.25v
9.5v
10.98v
10.09v
DSO
12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6.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치는 근사했으나, 계산치는 그보다 약 3㎃가 높게 나왔다. 두 세번 다시 계산해 보았음에도 역시 같은 값이었다.
그럼 측정치가 잘못되었다는 것인데 회로 또한 이상이 없어 문제점을 찾을 수가 없
었다. 부하저항 330Ω만을 놓고 했는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2.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 하고자 하는 저항 양단에 걸려야 할 전압이 모두 전압계 양단에 걸리므로 원하는 값을 측정할 수 없다.
전류계는 반대로 내부저항이 거의 0이다. 그러므로 직렬로 연결하면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거의 없어서 전압강하가 적어 기존의 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할 때 오실로스코프에서 첨두치를 미세하게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 같다. 때문에 값이 =3.53V 정도 나와야 하는데 3V정도로 측정되었다. 이는 소자의 내부저항에 의해 전압강하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VR과 VL의 위상차를 파형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0.03.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전압 분배 법칙에 의해 각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압이 걸리게 된다.
Table 9.7
→ 계 산 과 정
(g) Is the voltage also equal to ? Why?
를 만족하며, 가 각 저항(, )에 의해 발생된 전압 강하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식을 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항에서의 전압강하를 유도하게 되므로 실제로는 인가전압에서 이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뺀 나머지가 다이오드 역방향시에 걸리는 전압이 되며, 그로인해 실제 측정된 채널 2에서의 값이 채널 1보다 약간 작은 것이라고 심층학습을 통해 알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저항 값과 실제로 측정한 결과값이 다른데에서 오차원인을 찾아 낼 수 있고, 두 번째로 각 저항이 연결되는 가운데 회로상에서 생기는 저항과 온도 차이에서 올 수 있는 저항의 값 변화 그리고 20V,25V의 전압을 입력시 서플라이에서 표시할 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압은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선택한다. 그리고 역방향 전류는 매우 작아 수μA에서 수 mA이며, 다이오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실험에 사용한 멀티미터는 측정범위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역방향 전압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값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생각된다.
c. 이상적인 회로 구현의 어려움
- 이상적인 회로는 저항기를 제외한 나머지의 저항은 0이기 때문에 저항기 외에서의 전압강하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이상적인 실험환경에서는 온도나 습도 등의 요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값의 오차 발생 요인으로 생각된다.
c. 이상적인 회로 구현의 어려움
- 이상적인 회로는 저항기를 제외한 나머지의 저항은 0이기 때문에 저항기 외에서의 전압강하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이상적인 실험환경에서는 온도나 습도 등의 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