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방후원분』충남대학교출판부.
박순발, 2001, 「영산강유역 전방후원분과 식륜」『한·일고대의 문화교류』국립전주박물관.
박중환, 1997, 「광주·전남지역 장고형고분의 분구에 대하여」『호남고고학보』5, 호남고고학회.
박천수, 1998,「韓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방후원분이 발견된 이래, 국내 뿐 아니라 한일 양국간에도 많은 논쟁이 있어왔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 지역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나오지 않고 있다. 문헌자료가 부족하여 고고학 자료들에만 의존하다보니 자료에 대한 분석이 학자들마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9.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돌방(竪穴式石室)이나 점토덧널(粘土槨)과 같은 매장주체부(埋葬主體部) 등의 속성을 포함한다.
초기의 전방후원분은 보통 자연지형상으로 볼 때 구릉의 선단부와 같은 곳에 입지하며 전방부(前方部)가 낮고 좁은 것이 특징이다. 매장주체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시대 무덤을 대표하는 것은 전방후원분이라고 부르는 독특한 형상의 무덤이다. 앞부분이 사각형이고 뒤는 원형을 이룬다. 그 분포는 긴키 지방을 중심으로 거의 일본열도 전역에 걸쳐있으며 거대한 분묘에서 소규모 분묘까지 수 백기에 이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3.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고분 주위에 세우는 원통형 하니와 제작 성행
372
백제 초고왕, 왜에 七支刀 보냄
400
고구려, 신라에 군사를 보내 왜를 격퇴함(광개토왕 비문)
400경
전방후원분이 나라 분지에서 오사카 평야로 이동하고 더욱 거대화함. 인물 하니와가 나타남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