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퇴개방형과 툇간이 없는 무퇴폐쇄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광주향교와 나주향교 모두 툇간이 있는 전퇴개방형으로 되어 있다. 광주향교의 문묘공간은 내삼문(3.9평), 동무(8.7평), 서무(8.7평), 대성전(27.1평)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나주향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5.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퇴 또는 열전대 이라고 하며, 다수의 열전대를 직렬
로 연결하여 기전력을 높여 열유량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매우 민감하므로 사용하기 전에 실온이나 정해진 환경에
서의 초기온도에서 정상상태에 이르도록 해야 한다.
2) 불투명체의 방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퇴개방형으로 되어 있다. 광주향교의 대성당은 퇴보가 앞쪽으로 있고 툇마루는 없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광주향교의 대성당(27.1평)
광주향교의 대성당 평면도(27.1평)
광주향교의 대성당 내부
광주향교의 대성당 내부
- 향시의 합격예정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15.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퇴(前退)가 있는 2칸 반의 사랑채는 ㄱ자형이며 사랑채 상량대에는「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이라 적혀 있다. 안채는 남향으로 정면 8칸, 측면 3칸 반의 전후퇴가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는 기단이 낮은 반면에 툇마루가 높게 설치되어 있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퇴
등록기준 : 세계문화유산기준 (Ⅳ)
(Ⅳ) 가장 특징적인 사례의 건축양식으로서 중요한 문화적, 사회적, 예술적, 과학적, 기술적 혹은 산업의 발전을 대표하는 양식
③ 일본의 문화 유산
(1)호류지
호류지(法隆寺)는 불교를 일본에 도입했다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