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과정 평석, 문화전통논집, Vol.4, 1996
정무룡, 정과정의 원상적 형식 재고, 경성대학교 논문집, 1996
정병욱, 한국고전시가론 제 2판, 신구문화사, 1994
황병익, 고전시가 다시 읽기, 새문사, 2006 1. 작품 요약
2. 주제
3. 기존 연구 검토
4. 나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찰, 고려가요연구, 새문사, 1982
장덕순, 구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72
최용수,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993
김기동, 구문학개론, 정연사, 1960
김기탁, 도이장가에 대하여, 영남어문학, 영남어문학회, 1982
김동욱, 도이장가의 문헌 민속학적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과정이라고 이름지었다고 한다. 그리고 거문고를 타면서 노래를 불렀다고 해서 정서가 유배생활이 여유가 있었다는 것의 해석은 곤란하다고 볼 수 있다. 그 당시에는 슬프고 울적할 때 거문고 등의 악기를 어루만지면서 쌓인 한과 비탄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과정의 문학사적 의의는 크다 하겠다.
참고문헌
고려가요 연구 박노준 1990 세문사
정과정의 종합적 고찰 이승명 2003 이회
고려가요의 해석 최 철 1996 연세대출판부
정과정의 정서와 공간 이경희 1986 개문사 I. 序論
II. 本論
1. 정과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찰
1) 정서(鄭敘,?~?)와 그 시대상황
2) 명칭과 진작(眞勺)의 어원
3) 지은 동기(연군대상)와 시기
2. 어 석
3. 작품분석
1) 화자 ‘나’,갈등극복의 문학적 장치
2) 향가 형식의 계승과 그 의미
3) 진작양식
4) 한역된 「정과정」
5) 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