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석가 연구
- 한국고시가론 -
- 차 례 -
Ⅰ. 서론
Ⅱ. 본론
1. 정석가 원문과 어구 해석
2. 형식상 표현상 특징
3. 논의의 쟁점
1)「딩아돌하」의 해석문제
2) 정석가의 성격과 주제 - 민요인가 송도가인가?
3) 제작연대와 작자
Ⅲ. 결론
Ⅰ. 서론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닌 말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윤철중은 그의 <정석가 연구>에서 “딩아돌아”를 고대 공동체의 復活祭에 사용된 제의가에 연원을 두고 있는 말일 것이라는 전제 아래, 지헌영 이명구의 생각을 받아들여 “「딩아」와 「돌하」는 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시가』문창사 2001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 연구』 국학자료원 1994
김완진 『향가와 고려가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정상균 『한국중세시문학사연구』한신문화사, 1986
박노준 『정석가의 민요적 성격과 송도가로의 전이양상』
윤철중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Ⅲ 기타 사항
☞ 일반적으로 고려조에 발생했다고 말하던 정석가의 발생시기를 재고하는 글이 있어 간략하게 이를 소개하겠다. 이 글에서는 내용이나 형식보다는 악곡과 문헌에 기초해 논지를 진행시켰다.
① 악곡상
☞ 우선 악곡으로서 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석가>, <가시리>) 단순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데 비해, <이상곡>의 경우는 둘째 구절에서 제목을 따왔다는 점에서 이질적이다. 그리고 외관상으로는 제목이 포함된 둘째 구절이 가사 전체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