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치 및 동선체계
평면상에서 가장 강한 소쇄원의 특징은 현장에서의 지각과는 달리, 기하학적인 체계외 지배적 존재이다. 노출된 암석사이로 굽이치는 계류와 기울어진 고목의 이미지에 반하여 석축과 담 그리고 건물의 기하학적 배치는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9.30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쇄원에는 대문이라 할 출입문이 없다.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문을 만들지 않았다. 담장도 어른 가슴 높이로 흙담으로 쌓아 건물사이의 경계를 뜻할 뿐, 단절감을 주지 않는다.
별서정원이란 전원생활과 문화생활을 함께 한 공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원에서 그러한 모습이 보이는 것이 매우 안타갑다. 황토와 나무를 이용하여 자연에게 다가가려고 했던 소쇄원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시멘트라는 요소로 인하여 자연과의 물아 일체를 방해 하고 있다. 우리들이 조금만 더 신경을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원에는 나무와 화초 또 지피식물(땅의 겉면을 덮고 있는 잡초 같은 것 )들을 심는다.
▷ 담양 소쇄원 대원사,『소쇄원』, 2000, 정재훈, p.10/23~24/27~30/80~92
‘소쇄(瀟灑)’라는 말은 원래 공덕장이 쓴 <북산이문>에 나오는 말로 ‘마음과 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4.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원
도1.소쇄원
도2.광한루원
도3.포석정지
도4.방화수류정
일본의 정원
도1.가이라쿠엔
도2.겐로쿠엔
도3.코라쿠엔
참고문헌
1. 단행본
허균,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다른세상, 2002
박정욱, 『풍경을 담은 그릇 정원』, 서해 문집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3.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