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주방작업이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장소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공간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와같은 田자형의 평면 형태는 함경도 지방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평안도 지방에서는 일부에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주방작업이나 가족들의 식사 또는 휴식장소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공간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전(田)자형의 평면 형태는 함경도 지방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평안도 지방에서는 일부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주간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는데, 정주간이 있는 겹집은 난방이 되기떠문에 식사나 가족들의 모임장소로 이용된다. 집 한복판에 큰 정지간과 마당과 부엌이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하나의 공간을 이루고, 좌우에 여러 개의 방이 田자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주간과 방 들의 일부가 \"田\"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를 일명 \"田자형 주 택\"이라고도 한다. 이형의 특징은 부엌과 정주간 사이에 벽 체가 없이 하나의 커다란 공간을 형성하고 그 옆으로 방들 이 \"田자형\"을 이루면서 서로 붙어 있고, 또 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주간은 부엌과의 사이에 벽이 없어 부엌일을 하거나 가족들 의식사 또는 휴식 등 지금의 거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다만 부엌은 흙바닥이고 정주간은 온돌을 놓았다.
⑤정주간에는 인접된 네 개의 온돌방의 벽이 붙어 있어 기후적으로 혹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12.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