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만큼 어원적인 의식을 머금고 표기되어지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러면 「水」의 어원은 무엇일까?
이미 여러 사람에 의해서 인용 검토된 三國史記 地名中에 「買」계열의 地名이 있다. 이 「買」는 주로 漢字 「水, 用, 河, 井」으로 對譯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의 문체 구문 어휘의 연구,경북대 박사논문.
김형철(1992),어휘론 연구사,국어국문학 40년,집문당.
남기탁(1988),훈몽자회 <신체>부 자훈연구,중앙대 박사학위논문.
남영신(1987),우리말 분류 사전,한강문화사.
문선규((1972),조선관역어 연구,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면 \"허름하지 않고 썩 좋은\" 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어, 참외가 오이보다 맛과 향기가 좋다는 표현이다. 참외의 기록은 향약구급방, 조선관역어, 훈몽자회, 신증류합, 지봉유설, 산림경제, 고사신서, 정몽류어 등에도 기록이 있는데 참외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음가가 [o]였음을 말해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들째 (b)는 국어의 \'ㅜ\'와 중국운의 u의 대당이 드러내 준다. 여기서는 예외가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조선관역어에서 국어의 \'ㅓ\'를 표사하기 위하여 사용된 중요한 한자들을 들면 다음과 같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관역어에서 어말의 ‘ㅅ’을 위해 ‘思’자를 이용하였지만 ‘ㄷ’을 위해서는 아무런 방법도 마련하지 않았음을 이유로 ‘ㅅ’과 ‘ㄷ’의 차이를 인정했다. 또한 안병희는 종성에서 ‘ㅅ’과 ‘ㄷ’이 중화되었다고 볼 수 없는 여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