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野史體’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4. 맺음말
지금까지 허봉이 쓴 해동야언의 배경적 요소를 살펴 보았다. 우선 해동야언의 저자인 허봉의 생애를 서술하고, 당시 조선시대의 野史적 특징을 검토해보았다. 이어서 해동야언의 서술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5.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동역사>
황원구, 「한치윤-해동역사를 중심으로」, 『실학논총』(이을호박사 정년기념), 1975.
이태진. 「해동역사의 학술사적 검토」. 『진단학보』 53·54. 진단학회, 1982
지두환, 「《동사강목》 과 《해동역사》에 나타난 역사인식의 차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규보의 <청강사자현부전>등이 있다. 또한 대나무를 의인화한 혜심의 <죽존자전>, 지팡이를 의인화한 <정시자전>등이 있다. 조선시대로 넘어와서도 계속 나온 가전은 정해진 관습을 존중하면서 서서히 변모를 보였다. 없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9.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1.
김석희, 「상촌 시조 30수의 짜임에 관한 고찰=A Research on the Serial Order of Sangchon\'s Poetry」, 『古典文學硏究』19집, 한국고전문학회, 2001, 61-102쪽.
김석희, 「상촌 신흠 시조 연구=A research on Sanngchon Shinhum\'s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후기 대도설화 유입의 관점에서 본 <홍길동전>
3.2.1. 조선후기 대도설화와 <홍길동전>의 관련성
3.2.2. 『해동이적』 ‘보’의 <홍길동전>에 관한 언급
3.2.3. <홍길동전> 판본 사이의 불일치
3.3. 홍길동전 한글판본에 나타난 근대 언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