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의 경우 56.1%가 이 점을 들고 있으며, 조사된 동포 중 40.7%가 \"가능하면 외국에 나가 살고 싶다\"고 답하고 있다.
2. 당면 문제
뻬레스뜨로이까 이후 구 소련 한인들은 활동 공간이 넓혀짐에 따라 소수민족으로서의 권익을 확보하고 단결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3.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인 정체성 연구 현황과 과제, 한민족문화학회
○ 김인덕(1996), 1920년대 후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태 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 김명섭(2001), 1920년대 초기 재일 조선인의 사상단체, 한일민족문제학회
○ 서경식(1996), 재일조선인의 위기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인운동이 변용되었음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했다. 재일조선인운동이 일본 대중들과의 호흡과 연대를 기반으로 주어진 조건 속에서 조국 현실을 개선하려는 형태로 진행해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시점부터 그 성격을 달리하게 되었다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8,000원
- 등록일 2025.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러시아는 이것이 국면을 타개할 수 잇는 결정적 열쇠라고는 생각지 않았다. 러시아가 조선에서 영향력을 강화하면 할수록 일본의 거센 반격에 직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조선에 대한 부당한 내정간섭이 조선인의 의혹과 적의를 사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인의 러시아관, 열강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기』, 2005).
박실, 『벼랑 끝 외교의 승리 : 이승만 외교의 힘』, (서울: 청미디어, 2010).
박종효 편역 『러시아 연방외무성 대한정책 자료 2』, (서울: 선인, 2010)
최문형, 『러시아의 남하와 동아
|
- 페이지 8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4.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