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는 말
Ⅱ. 본 론
1. 존칭
(1) 주체높임
(2) 상대높임
(3) 객체높임
2. 호칭
(1) 호칭과 지칭
(2) 호칭의 분야별 분류
(3) 잘못 쓰이고 있는 호칭과 지칭의 예
(4) 호칭과 지칭의 존대 형태와 낮춤 형태
Ⅲ. 맺음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5.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오 오: ‘샤’는 모음어미 앞에 오기 때문에 그냥 ‘’가 아닌 ‘오’가 되어야 한다.
(연결어미)
원문: 부로 일훔과 本본來ㅅ 큰 願과
해석: 부처님의 이름과 본래의 큰 소망과
<형태소 분석>
● 부로: 부텨 +ㅅ(존칭
|
- 페이지 79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높임법이라고 한다.
2.주체존대법과 오류
【1.주체대우의 방법】
주체대우법이란 서술의 주체인 주어를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에 관한 방법론이다.
주제존대의 표현 방식은 일반으로 존칭 접미사 “(으)시”를 용언의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04.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높임은 24개월 이후에 습득
경어 존칭 사용은 42개월 이후에 나타남
주체 높임의 경우, 주어격의 높임은 60개월 이후에 나타남
⑥ 문법적 규칙 발견과 적용을 위해 능동적으로 노력함-노력중 오류발생
과잉일반화(overregularization)
ⅰ. 언어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10.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높임법, 시제 표현법 등이 관계되지만 이러한 문법 요소 실현에 관여하는 선어말 어미 등도 여기서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1) 높임법
주체 높임법은 문장 속의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으로 오늘날에는 선어말 어미 ‘-(으)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