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석: ‘인비인’은 사람과 사람 아닌 것과 하는 말이니 팔부 팔부: 사천왕에 딸린 여덟 귀신. 건달바(乾婆), 비사사(毘舍), 구반다(鳩槃茶), 아귀, 제용중, 부단나(富單那), 야차(夜叉), 나찰(羅刹)이다.
를 어울러 이르는 말이라
<형태소 분석&
|
- 페이지 79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성이 매우 생산적임을 현대국어 뿐 아니라 중세국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 나가-, 도라오-
‘두-’(置)의 경우는 특수하게 쓰였다. ‘뒷더시니’가 ‘두- + -어 잇- + -더시니’로 분석된다면, 이는 다시 ‘둬잇더시니’ ‘ 없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0원
- 등록일 2025.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권, 36장 상)
“내 이 爲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 여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大愛道 니르시니 大愛道ㅣ 摩耶夫人ㅅ 兄니미시니 摩耶夫人만 < 釋譜詳節 第六 - 석보상절 6권>
1. 석보상절의 편찬 동기
2. 석보상절의 내용
3. 전본 및 소장처
4. 석보상절의 가치
5. 석보상절의 등장인물
6. 원문 해석 및 주석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12.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권, 시부 쇼헤이[志部昭平], 汲古書院, 1990)을 들어야 한다. 본문의 교주에서 서지학적인 분석까지 매우 치밀한 연구로, 한국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제2권은 문맥 어휘색인(KWIC색인)이며 유용하다. 1. 중세국어란 무엇인가?
2. 중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