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헌례, ⑨ 음복례, ⑩ 철변두, ⑪ 망료, ⑫ 제후처리의 순으로 진행된다. 종묘제향은, 일제 강점기에는 이왕가에서 지냈고, 광복 후에는 전주이씨 종문에서 섭행하고 있다. 또, 종묘제례에는 음악과 무용이 따르는데, 음악은 《보태평》 《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무 역시 왕의 무공과 문공을 칭송하는 것으로서, 문덕을 기리는 보태평무와 무덕을 기리는 정대업무로 나뉜다.♠종묘제례의 정신적 의의는 천지인 합일사상과 효 사상으로 지적된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헌례(終獻禮) : 좨주(祭酒), 계적(鷄炙), 종헌관재배(終獻官 再拜)
10. 유식례(侑食禮) : 첨작(添酌), 삽시정저(揷匙正箸)
11. 합문례(闔門禮)
12. 계문(啓門)
13. 진숙수(進熟水)
14. 낙시저(落匙箸), 합반개(闔飯蓋)
15. 사신례(辭神禮) : 분축(焚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헌례 →종헌례 →음복례 →철변두 →망료 →제후처리
* 종묘제례가 있기 전 왕은 4일간 근신하고 3일간 몸을 깨끗하게 한다. I. 한국의 무형유산
II. 한국의 기록유산
III. 중국의 문화유산
IV. 한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3.12.1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헌례
세 번째 술잔을 올림
헌가
성안지악
고선궁
무무
영신과 같음
음복례
제사 음식을 맛봄
헌가
성안지악
고선궁
없음
영신과 같음
철변두
변과 두를 거둠
등가
오안지악
남려궁
없음
전폐와 같음
송신례
신을 보냄
헌가
응안지악
송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