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론
2. 기존 연구사 검토
2.1 견우노옹(牽牛老翁)
2.2 수로부인(水路夫人)
2.3 암소(牽牛)
2.4 주선(晝饍)
3. 작품의 원전 및 특성 검토
4. 역사 문헌적 검토(배경설화 분석)
5. 텍스트 확정
5.1 원문
5.2.1 1행 - ‘紫布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헌화가>의 제의성 요약
1. 수로부인 이야기의 특성
1) 주선(晝饍)과 임해정(臨海亭)의 의미
2) 형성과 성격
2. 서사문맥의 제의적 해석
1) ‘꽃거리’ ― 제물의 대체
① ‘견자우(牽牸牛)’와 ‘방모우(放母牛)’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주선(晝饍)을 제물로, 거기다가 헌화가를 지어 바친 노인이 끌고 왔던 암소까지 제의의 희생물로 보는 입장도 있다. 이렇게 되면 수로부인은 자연스레 제의를 진행한 무당이 되는데, 학자에 따라서는 수로부인을 당시 신라 최고의 무당으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석
2.3.2. 문맥체계로서의 해석
2.3.2.1.「헌화가」의 작자 ‘노옹’은 누구인가
2.3.2.2. 주선(晝饍)
3. 수로부인과 해가, 구지가 와의 연결성
3.1. 수로부인은 누구인가
3.2.「해가(海歌)」와「구지가(龜旨歌)」
3.3. 「해가」의 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