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임의 농업\'을 \'살림의 농업\'으로 바꾸고, \'죽임의 밥상\'을 \'살림의 밥상\'으로 만드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되는 일이 아닐까? - 생명가치가 중심되는 농업과 삶
- 농업의 의의와 중요성 망각
- 공해시대의 개막과 먹거리의 안전성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죽임에 대한 허용론과 불가론
허용론의 논거
①낮은 삶의 질- 품위 있는 죽음을 선택할 권리를 빼앗는 것은 잘못된 행위
② 환자 ,가족. 의료진. 병원. 사회모두에 부담
③ 자신이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다. Ⅰ. 혼수상태의 정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죽임과 죽도록 방치함 간의 구분이 아무리 자의적이고 정당화 될 수 없다. 하더라도, 무고한 인간을 직접적으로 죽이는 것을 금하는 규칙은 최소한 효과적인 경계선이 될 수 있다. 살만한 가치가 있는 삶을 가진 유아와 명백히 그렇지 못한 삶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죽임의 농업(근대화학농업)이 아니라 살림의 농업, 즉 친환경농업(유기농업)으로 바꾸는 일이다. 더욱이 근래 납꽃게 수입, 환경호르몬 농약잔류 검출, 유전자조작 옥수수 수입, 광우병과 구제역 파동, 집단식중독 발생 등으로 인해 각종 먹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죽임의 외주화’ 길을 피할 수 없는 청년들. BBC뉴스
- 매일경제(2018.12.23.). [죽음의 외주화] ① 비정규직 벼랑끝으로 내모는 원·하청 구조. 매일경제
- 이성택(2019.01.15.). 김용균법 오늘 공포, 시행은 내년 1월 16일부터. 한국일보
- 노동자연대(201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2.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