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화와 평폐쇄음화」. 한국어학, vol.68, (2015), 59-89. Ⅰ. 서론
Ⅱ. 본론
1. 평폐쇄음화 현상과 한국어 예시
2. 영어의 평폐쇄음화 현상 비교
3. 일본어의 음운 변동 비교
4. 중국어의 음운 변화와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4.0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로, 전설장애음은 전설음 ㄷ으로, 후설장애음은 후설음 ㄱ으로 바뀐다. 파찰음이나 마찰음은 폐쇄음으로 바뀌고 폐쇄음 중에서 경음이나 유기음은 평음으로 바뀌는 것이다. 따라서 평폐쇄음화는 폐쇄음화와 평음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음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어나는 유음화(진리[질리]), 비음화(국민[궁민]), 경음화(갈등[갈 Ⅰ. 들어가면서
Ⅱ. 학습권에 따른 발음의 오류
1. 중국어권 학습자
가. 자음 발음의 어려움
나. 모음 발음의 어려움
다. 음절구조에 따른 발음의 어려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폐쇄음화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 17. (서울대).
오정란. 1993. \"국어 음운 현상에서의 지배 관계,\"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1.
이병근. 1977. \"자음동화의 제약과 방향,\" 「이숭녕선생고희기념논총」.
이승재. 1980. \"구례지역어의 음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평폐쇄음화 현상에 대하여 배주체, 음절말 평폐쇄음화에 대하여, ‘관학어문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181~203의 내용을 요약한 것임.
1. 머리말
한 형태소는 한 가지의 음운 형태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소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