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계 용적
제외장소 : Double Bottom, Companion Way, Engine Casing 등 측정규정에 정한 장소
②순톤수(Gross Tonnage)
NT : GT (공제장소의 용적 x 0.353)
<참조> 1 m3 = 0.353 톤
100 ft3 = 2.83 m3 = 1톤 1. 선박톤수 분류
2. 중량톤수
3. 용적톤수
4. 운하톤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8.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량은 1,300 ~ 3,000M/T의 것이 일반적이다.
50. TSL(Techno-Super Liner)
속력 약 50노트(시속 약 93km)이상 적재중량 1,000톤이상, 항속거리 500해리(약 930km) 이상을 나아가는 수송기구로서의 정시성 확보(내항성 확보)를 개발목표로 삼은 신형의 초고속선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량을 재화중량 (Daedweight) 라고 한다. 재화중량에는 연료, 식량, 용수, 음료, 창고품, 승선인원 및 그 소지품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실제 수송할 수 있는 화물 톤수는 재화중량에서 이들의 중량을 차감란 것이다.
Net Tonnage (N/T, 순톤수)
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4.0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① 101. ③ 102. ③ 103. ③ 104. ② 105. ③ 106. ②
103.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중량으로 화물선, 탱커 등의 선복량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용선계약, 선박매매 등 상거래의 기준이 되는 선박의 톤 수는 무엇인가?
① 순톤수 ② 배수톤
|
- 페이지 1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량 톤수
우선 입구 30,000 DWT
두 번째 입구 내부 영역 13,000 TEU / 143,000 DWT
외부 지역의 18,000 TEU / 198,444 DWT
셋째 하버 지역 18,000TEU + / 242,800 DWT
30 만 DWT
재화 중량 톤수에 대한 변경 사항과 함께 다음 수역 시설에 대한 수정이 될 것이다
첫 번째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6.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