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언분류와 형태교체
체언의 분류
명사
매(+애) 업거늘
-강에 배가 없거늘
대명사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 소실자 및 달라진 문자
체언분류와 형태교체
용언의 분류
어미의 분류
수식언과 독립언
문법의 형태의 기능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7.10.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는 크게 전기와 후기로 나뉘는데 14세기에 그 음운체계에 현저한 변화가 일어났다. 후기 중세국어 특히 15세기 중엽은 국어의 역사적 연구에서 각별한 주목을 받아 왔는데 주된 이유는 이 때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었기 때문이다.
이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로부터 유입이 계속되었다.
중세국어의 어휘에 대해 공부하고 요약하면서 느낀 점은 중국의 영향과 훈민정음 창제로 인해 중세국어는 많은 변화를 겪어 의미와 형태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낯선 중세 국어의 어휘는 나에게 무척이나 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예) 합용병서의 음가
·ㅴ - ㄱ의 경음
·가가ㅵ - ㄷ의 경음
·가 - ㅂ의 경음
·가 - ㅈ의 경음
·가 - ㅅ의 경음
예) 자음의 음운변화
·경음화 - 합용병서의 음가 참조
·격음화 - 고ㅎ(鼻) 코
·유성음화 - 까힝(秋)
·자음탈락 - 나리(川)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화에 의해 새로운 음소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2. 마찰음 -*γ
후기 중세국어의 ‘ㅎ’ 종성체언의 ‘ㅎ’은 화석형이 나타난 것뿐이고, 이미 15세기가 되기 이전에 未破調音로 인해 음절 말에서는 음성실현음이 약화되어 거의 소멸되어버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