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발달사』, 世英社
이숭녕,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社
한재영, 「중세 국어의 피동구문의 특성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61』
유창돈,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 중세국어 피·사동의 쓰임
가. 피동
나. 사동
2.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사 개설, 탑출판사
이익섭, 이상업, 채완(1997),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정경일 외(2000),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박이정 1. 고대국어
1) 음운체계
2) 자음체계
3) 모음체계
4) 문법체계
5) 어휘체계
6) 표기
2. 중세국어
3. 근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 접사 ‘-이-’, ‘조치다’에서는 피동 접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긔벼를’, ‘나가샤’, ‘도’, ‘자시니다’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음소적 표기법에 따라 표기하고 있다.
<참고 문헌>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법의 문법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존대법에서의 특징은 중세국어 문헌이지만, 근대국어적인 모습을 띤다는 것이다. 중세국어에서는 주체존대법, 상대존대법, 객체존대법의 3분 존대법 체계가 매우 정교하게 나누어져 있었는데, 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교사로서 좋은 모습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4. 참고자료
- 국어지식탐구, 김광해 외, 박이정.
- 중세국어문법론, 안병희 외, 학연사.
- 국어학개론 수업 자료, 원광대 국어교육과, 2008.10-11
- 형식명사·보조사·접미사의 상관관계, 최형용,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