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세국어 피·사동의 쓰임
가. 피동
나. 사동
2. '-어 디-'의 分布
가. 피동
나. 사동
2. '-어 디-'의 分布
본문내용
와 형용사와의 결합에 있어 {-이-}도 활발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 ㄱ. 이대 아로밑 덞규밑로
ㄴ. 觀과 行앳 大病 ㅣ 되일싶 仔細히 까힝시니라
앞에 가설①에서 '디다'가 통사부에 도입도니 것이 처음에는 '어간+어간'의 방법을 통한 것임을 밝혔듯이, 이제 그 분포와 현대국어에 있어서의 생산성을 비교해 볼 때 그 도입시기가 國語史의 그리 멀지 않은 시기였던 것 같다.
지금까지의 예들은 피동구문과 그의 능동대당문에서 想定될 수 있는 타동사가 나타나는 것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어 디-} 구성 예에서 능동대당문의 설정이 어려운 일련의 피동구문 예도 있다.
(11). ㄱ. 묏그름제 므래 것구라디니
ㄴ. 胎衣링 나티 몬힝야 胎 ㅣ 힝야디여 주구매
(1)의 예의 동사들에 대한 타동사 '?것굴다, ?힝이다'등의 예는 찾을 수가 없다. 그러나 예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 능동대당문을 설정할 수 없는 문장 즉 자동사문이라는 중거는 되지 못한다. 그 不在의 원인은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고, 중세국어에만 단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어 디-}가 현대국어와 비교해 볼 때 그다지 생산적이지는 못한, {-이-}와 동등한 자격으로 피동구문의 구성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어 디-}를 조동사로 다룰것이냐, 접미사로 다룰 것이냐 하는 논의는 더 진행되어야 할 것 같다.
※ 참고문헌
박병채, 『국어발달사』, 世英社
이숭녕,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社
한재영, 「중세 국어의 피동구문의 특성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61』
유창돈,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 ㄱ. 이대 아로밑 덞규밑로
ㄴ. 觀과 行앳 大病 ㅣ 되일싶 仔細히 까힝시니라
앞에 가설①에서 '디다'가 통사부에 도입도니 것이 처음에는 '어간+어간'의 방법을 통한 것임을 밝혔듯이, 이제 그 분포와 현대국어에 있어서의 생산성을 비교해 볼 때 그 도입시기가 國語史의 그리 멀지 않은 시기였던 것 같다.
지금까지의 예들은 피동구문과 그의 능동대당문에서 想定될 수 있는 타동사가 나타나는 것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어 디-} 구성 예에서 능동대당문의 설정이 어려운 일련의 피동구문 예도 있다.
(11). ㄱ. 묏그름제 므래 것구라디니
ㄴ. 胎衣링 나티 몬힝야 胎 ㅣ 힝야디여 주구매
(1)의 예의 동사들에 대한 타동사 '?것굴다, ?힝이다'등의 예는 찾을 수가 없다. 그러나 예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 능동대당문을 설정할 수 없는 문장 즉 자동사문이라는 중거는 되지 못한다. 그 不在의 원인은 우리가 아직 발견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고, 중세국어에만 단지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어 디-}가 현대국어와 비교해 볼 때 그다지 생산적이지는 못한, {-이-}와 동등한 자격으로 피동구문의 구성에 참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어 디-}를 조동사로 다룰것이냐, 접미사로 다룰 것이냐 하는 논의는 더 진행되어야 할 것 같다.
※ 참고문헌
박병채, 『국어발달사』, 世英社
이숭녕,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社
한재영, 「중세 국어의 피동구문의 특성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61』
유창돈,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추천자료
국어 대우법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조선후기정치사의 성격규정
한중서지 중국의 서지목록사(書誌目錄史),위진․남북조 시대
일본 고전 문학사 연구
[과외]고등 국어 1-2학기 중간 예상문제 03
일본어의 악센트 연구사의 시대구분과 언어사
모음조화(母音調和)의 변화(變化)양상(樣相) 원인(原因) 고찰
국어표기법의 변천
용비어천가 제118장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특징 분석
구개음화(palatalization의 발생과 전파 (구개음화의 정의와 종류, 음운현상으로서의 구개음...
메이크업의 이해(Understanding of Make-up) & 메이크업의 역사(History of Make-u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