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世英社
이숭녕, 『中世國語文法』, 乙酉文化社
한재영, 「중세 국어의 피동구문의 특성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 61』
유창돈, 『李朝語辭典』, 延世大學校 出版部 1. 중세국어 피·사동의 쓰임
가. 피동
나. 사동
2. '-어 디-'의 分布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닭 한 마리를 잡았다.”의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예문-ㄴ)은 두 번째 의미만을 지니고 있다.(고등학교 문법, 2010:223, 나찬연, 2007:184)
결론)
-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인 교수방안
그렇다면 어떤 교수방안이 사동표현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9.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이 불가능한 동사는 물론 가능한 동사 어간에도 결합되어 사동문을 형성한다. 그만큼 사동사 사동보다는 넓은 범위의 동사에 적용되는 셈인데 아래 예문 다)에서 보듯이 사동사 사동이 가능한 경우에 ‘-게 하다’ 사동이 불가능한 경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이고 (나)는 ‘-시키다’가 접미사로 쓰인 예이다. (다)와 (라)는 ‘-게 하다’의 ‘하다’ 대신 ‘시키다’를 사용한 문장이다. ‘시키다’에 의한 사동문은 대체로 사동주와 피사동주가 유정물이어야 한다는 제약을 갖는다.
8. 장형 사동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2.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대용언으로 볼 수 있다고 보는 관점. ‘하다’를 본동사로 설정, ‘-게’도 부사형 어미로 인정.
- 사동법과 피동법의 구체적인 형성 방법 차이
1. 피동문의 형성 방법
(1) 능동문의 목적어가 피동문의 주어가 된 형태.
(예 : 사냥꾼이 토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