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법 내용 구성 방안, 한국어 교육 14-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3-168쪽.
백봉자(200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문법-피동/사동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12-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415-445쪽.
성비락(2005), 몽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동사의 형태가 같을 경우 문법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예 : 아기가 엄마에게 안겼다.) 피동사
(예 : 엄마는 순희에게 아기를 안겼다.) 사동사
(1) 둘을 동음이의어로 보는 견해. 중립 동사나 영파생 접사라는 인위적인 새로운 문법 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동문이다. 남기심·고영근은 ㈁의 '손목을'을 목적어로 간주하고 동사 '잡혔다'를 타동사로 처리해서 ㈁을 목적어를 지닌 피동문이라고 말하였다.
◆참고문헌
1. 바른 국어생활과 문법, 임홍빈 외,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1
2. 표준국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피동 구문이라는 말도 성립될 수 없지만 특별히 다른 말로 표현하기가 애매하여 목적격 피동 구문이라는 명칭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격 피동구문은 아무 상황에서나 표현되는 것이 아니다. 문장에 있어서 문법적인 주어와 피동형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 범주를 사동법이라 하였다.
사동사와 피동사는 그 문법적인 기능이나 의미적인 차이가 있어 서로 다른 문법 범주의 개념이긴 하지만, 그 형태가 상당 부분 같은 경우가 있어 그 밀접한 관련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