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들어가기
2. 근대 이전의 악센트 연구
2.1 상 대
2.2 중 고
2.3 중세의 교토방언
2.4 근 세
3. 근대 이후의 연구
3.1 표준어의 악센트 연구
3.2 일본어 방언 악센트의 연구
4. 고문헌의 악센트 연구
5. 맺는말
참고문헌
1. 들어가기
2. 근대 이전의 악센트 연구
2.1 상 대
2.2 중 고
2.3 중세의 교토방언
2.4 근 세
3. 근대 이후의 연구
3.1 표준어의 악센트 연구
3.2 일본어 방언 악센트의 연구
4. 고문헌의 악센트 연구
5. 맺는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言』 1-1, 3,4, 2-1,4, 3-6
-------(1933), 『アクセントと方言』 國語科學講座 VIII, 『國語方言學』 41-71, 明治書院,『日本の言語學』 第七卷(1981), 大修館書店 수록
-------(1954), 『音韻論から見た國語のアクセント』, 服部四郞(1960), 『言語學の方法』 岩波書店 수록
-------(1955), 『沖繩方言の言語年代學的硏究』, 『民族學硏究』 19-12
平山輝男(1936), 『南九州アクセントの硏究』 (上)·(下), 『方言』 6-4, 5.
-------(1957), 『日本語音調の硏究』, 明治書院(1962 再版)
-------(1960), 『全國アクセント辭典』, 東京堂出版
馬淵和夫(1958), 『國語の音韻の變遷』, 『國語敎育のための國語講座』, 朝創書店
三宅武部(1934), 『音聲口語法』, 『國語科學講座』 第10輯, 明治書院
-------(1935), 『アクセント四段觀』, 『音聲學協會會報』 37
-------(1943), 『日本語アクセント辭典』, 日本放送協會
宮田幸一(1927), 『新しいアクセントのアクセント表記法』, 『音聲の硏究』 I
-------(1928), 『私のアクセント觀について』, 『音聲學協會會報』10
本居宣長(1785), 『漢字三音考』, 本居宣長全集 5, 摩書房編, 國語學大系 1,
『音韻』 (1938), 厚生閣 수록
山田美妙(1892), 『日本音調論』, 『日本大辭典』, 『日本の言語學』 第二卷(1980),
大修館書店 수록
守屋長譯(1932), 『京都及び土佐に於けるアクセント現象』, 『方言』 2-7, 8
Chamberlin, B.H.(1988), A Handbook of Colloquial Japanese, London, Tokyo:
Trubner & Co.
주)
1) 712년 성립된 神代에서 推古天皇까지의 日本의 神話, 傳說, 系譜, 歌謠 등을 내용으로 하는 최고의 문헌이다. 日本語 硏究자료로서의 가치는 文體史上 日本語文(和文)으로 쓴 雙體漢文體인 점, 表記로는 假名字母는 吳音系를 사용하고 音韻面에서는 上代特殊假名づかい로 구분된 점을 들 수 있다. 악센트의 '上', '去' 등의 注記가 神名과 地名에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전체는 3卷이며 淸濁의 구분을 엄밀히 하였고 악센트와 引音節(장음절)의 注記도 달았다. 古代傳誦의 諸傳을 天武天皇이 선정하여 외우게 하고 승려가 이를 기록하였다. 歌謠와 固有名詞 등에는 萬葉假名을 사용하였고 序文은 純漢文으로 기록하였다. 本文에는 訓注를 달았고 歌謠는 一音一字로 통일해 놓은 上代日本語 硏究자료로서 귀중한 것이다.
2) 『日本紀』라고도 불리우며 720년에 성립된 史書이다. 神代에서 持統天皇까지의 역사서이다. 日本語 硏究자료로서는 假名字母는 漢音을 사용하고 上代特殊假名づかい는 12음절을 甲類와 乙類로 엄격히 구별하여 표시해 준 것, 文體上으로는 神代의 雙體漢文體的인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漢文體로 기록하였다.
3) 성립시기는 905년으로 추정되며 『古今集』의 假名에 주의 聲点을 가해서 악센트를 나타내고 있다.
4) 漢文을 골격으로 한 漢字專用의 문장으로 실용성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日本語의 표현을 혼입하여 語法, 語彙, 用字法의 순수한 漢文體와는 차이가 나는 문체를 가리킨다.
5) 『和名抄』 또는 『順和名』 등으로도 불리어지며 源順이 934년경 편찬, 20卷本과 10卷本이 전해 내려져 오고 있다. 그 내용은 漢字의 사물의 명칭과 사항을 部類別로 정리하고 그 出典을 밝히고 의미 등을 해석한 것으로 漢字에 假名을 붙여 준 사전이었다. 그것은 단순한 漢日辭典이 아니고 백과사전류였다.
6) 편찬연대와 編者는 미상, 원래의 書名은 『假名五篇』이었다. 部首別로 분류한 사전으로 『新撰字鏡』을 그 주된 出典으로 하고 있으며 三卷(上, 中, 下)중 下卷만이 현재 남아있다. (佐藤喜代治, 1977: 525)
7) 1079년에 성립되었으며 작자미상이다. 그 당시 널리 읽혀지고 있었던 『金光明最勝王經』에 音注를 달고 萬葉假名으로 그 뜻을 표시하고 이에 聲点을 달았다. 본문에는 朱로 字音의 四聲내지 和訓의 악센트를 표시하였고 平聲과 平聲輕을 구별하고 있다. 日本語의 五十音圖를 최초로 보여주는 문헌으로서도 그 가치가 높다. (佐藤喜代治, 1977: 470)
8) 1136년의 성립으로 보며 작자미상. 『法華經』이란 불경에 나오는 1756字의 單字를 7行과 4段으로 그 빈도순서에 따라 정리하였다. 中國音과의 차이 등, 片假名의 訓에 字音을 표시하였다. (佐藤喜代治, 1977: 539)
9) 그 성립은 1144-1145년경으로 보며 漢字에 和訓을 달고 그 字音을 いろは順에 따라 배열해 주었던 가장 오래된 日本語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수록된 어휘들은 헤이안 말기의 日本語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漢字音에 대한 註를 통하여 音節數를 알 수 있는 사전이며 주로 한문서적과 불경을 그 출전으로 하고 있다. (佐藤喜代治, 1977: 524)
10) 聲明은 日本 佛敎의 儀式 중 法栗에서 僧呂가 부르는 聲樂의 총칭이다. 梵讚, 漢讚, 和讚, 講式, 論者가 있다.
11) 1687년에 觀應에 의해 간행(開合名目抄). 新義眞言集의 이론연구에 쓰여졌던 語句들의 700여 곳에 聲点과 聲明譜가 붙어있는 악센트 자료이다. 그러나 그 목적은 불료의 이론을 위한 실용적인 硏究에 지나지 않았다. 觀應은 音調의 고·저를 직접 말로 설명하며 자주 사용되는 語彙에 聲明의 節博士를 달아주고 이를 いろは順으로 배열해 준 標準音調辭典이다.
12) Rodriguez, Arte da Lingoa de Japna, 『日本大文典』, pp. 1604-1608.
13) Hoffman, J.J., Japanese Grammar, 『日本語文典』, p. 1868.
14) Chamberlin, B. H., A Handbook of Cloquial Japanese, p. 1888.
15) Edwards, E. R., tude Phon tique de la langue Japanaise, th se pour
le doctorat d'Universite de Paris, pr sent e la facult de Lettres
la Sorbonne, Leipzig. p. 1903
-------(1933), 『アクセントと方言』 國語科學講座 VIII, 『國語方言學』 41-71, 明治書院,『日本の言語學』 第七卷(1981), 大修館書店 수록
-------(1954), 『音韻論から見た國語のアクセント』, 服部四郞(1960), 『言語學の方法』 岩波書店 수록
-------(1955), 『沖繩方言の言語年代學的硏究』, 『民族學硏究』 19-12
平山輝男(1936), 『南九州アクセントの硏究』 (上)·(下), 『方言』 6-4, 5.
-------(1957), 『日本語音調の硏究』, 明治書院(1962 再版)
-------(1960), 『全國アクセント辭典』, 東京堂出版
馬淵和夫(1958), 『國語の音韻の變遷』, 『國語敎育のための國語講座』, 朝創書店
三宅武部(1934), 『音聲口語法』, 『國語科學講座』 第10輯, 明治書院
-------(1935), 『アクセント四段觀』, 『音聲學協會會報』 37
-------(1943), 『日本語アクセント辭典』, 日本放送協會
宮田幸一(1927), 『新しいアクセントのアクセント表記法』, 『音聲の硏究』 I
-------(1928), 『私のアクセント觀について』, 『音聲學協會會報』10
本居宣長(1785), 『漢字三音考』, 本居宣長全集 5, 摩書房編, 國語學大系 1,
『音韻』 (1938), 厚生閣 수록
山田美妙(1892), 『日本音調論』, 『日本大辭典』, 『日本の言語學』 第二卷(1980),
大修館書店 수록
守屋長譯(1932), 『京都及び土佐に於けるアクセント現象』, 『方言』 2-7, 8
Chamberlin, B.H.(1988), A Handbook of Colloquial Japanese, London, Tokyo:
Trubner & Co.
주)
1) 712년 성립된 神代에서 推古天皇까지의 日本의 神話, 傳說, 系譜, 歌謠 등을 내용으로 하는 최고의 문헌이다. 日本語 硏究자료로서의 가치는 文體史上 日本語文(和文)으로 쓴 雙體漢文體인 점, 表記로는 假名字母는 吳音系를 사용하고 音韻面에서는 上代特殊假名づかい로 구분된 점을 들 수 있다. 악센트의 '上', '去' 등의 注記가 神名과 地名에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전체는 3卷이며 淸濁의 구분을 엄밀히 하였고 악센트와 引音節(장음절)의 注記도 달았다. 古代傳誦의 諸傳을 天武天皇이 선정하여 외우게 하고 승려가 이를 기록하였다. 歌謠와 固有名詞 등에는 萬葉假名을 사용하였고 序文은 純漢文으로 기록하였다. 本文에는 訓注를 달았고 歌謠는 一音一字로 통일해 놓은 上代日本語 硏究자료로서 귀중한 것이다.
2) 『日本紀』라고도 불리우며 720년에 성립된 史書이다. 神代에서 持統天皇까지의 역사서이다. 日本語 硏究자료로서는 假名字母는 漢音을 사용하고 上代特殊假名づかい는 12음절을 甲類와 乙類로 엄격히 구별하여 표시해 준 것, 文體上으로는 神代의 雙體漢文體的인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漢文體로 기록하였다.
3) 성립시기는 905년으로 추정되며 『古今集』의 假名에 주의 聲点을 가해서 악센트를 나타내고 있다.
4) 漢文을 골격으로 한 漢字專用의 문장으로 실용성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日本語의 표현을 혼입하여 語法, 語彙, 用字法의 순수한 漢文體와는 차이가 나는 문체를 가리킨다.
5) 『和名抄』 또는 『順和名』 등으로도 불리어지며 源順이 934년경 편찬, 20卷本과 10卷本이 전해 내려져 오고 있다. 그 내용은 漢字의 사물의 명칭과 사항을 部類別로 정리하고 그 出典을 밝히고 의미 등을 해석한 것으로 漢字에 假名을 붙여 준 사전이었다. 그것은 단순한 漢日辭典이 아니고 백과사전류였다.
6) 편찬연대와 編者는 미상, 원래의 書名은 『假名五篇』이었다. 部首別로 분류한 사전으로 『新撰字鏡』을 그 주된 出典으로 하고 있으며 三卷(上, 中, 下)중 下卷만이 현재 남아있다. (佐藤喜代治, 1977: 525)
7) 1079년에 성립되었으며 작자미상이다. 그 당시 널리 읽혀지고 있었던 『金光明最勝王經』에 音注를 달고 萬葉假名으로 그 뜻을 표시하고 이에 聲点을 달았다. 본문에는 朱로 字音의 四聲내지 和訓의 악센트를 표시하였고 平聲과 平聲輕을 구별하고 있다. 日本語의 五十音圖를 최초로 보여주는 문헌으로서도 그 가치가 높다. (佐藤喜代治, 1977: 470)
8) 1136년의 성립으로 보며 작자미상. 『法華經』이란 불경에 나오는 1756字의 單字를 7行과 4段으로 그 빈도순서에 따라 정리하였다. 中國音과의 차이 등, 片假名의 訓에 字音을 표시하였다. (佐藤喜代治, 1977: 539)
9) 그 성립은 1144-1145년경으로 보며 漢字에 和訓을 달고 그 字音을 いろは順에 따라 배열해 주었던 가장 오래된 日本語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수록된 어휘들은 헤이안 말기의 日本語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漢字音에 대한 註를 통하여 音節數를 알 수 있는 사전이며 주로 한문서적과 불경을 그 출전으로 하고 있다. (佐藤喜代治, 1977: 524)
10) 聲明은 日本 佛敎의 儀式 중 法栗에서 僧呂가 부르는 聲樂의 총칭이다. 梵讚, 漢讚, 和讚, 講式, 論者가 있다.
11) 1687년에 觀應에 의해 간행(開合名目抄). 新義眞言集의 이론연구에 쓰여졌던 語句들의 700여 곳에 聲点과 聲明譜가 붙어있는 악센트 자료이다. 그러나 그 목적은 불료의 이론을 위한 실용적인 硏究에 지나지 않았다. 觀應은 音調의 고·저를 직접 말로 설명하며 자주 사용되는 語彙에 聲明의 節博士를 달아주고 이를 いろは順으로 배열해 준 標準音調辭典이다.
12) Rodriguez, Arte da Lingoa de Japna, 『日本大文典』, pp. 1604-1608.
13) Hoffman, J.J., Japanese Grammar, 『日本語文典』, p. 1868.
14) Chamberlin, B. H., A Handbook of Cloquial Japanese, p. 1888.
15) Edwards, E. R., tude Phon tique de la langue Japanaise, th se pour
le doctorat d'Universite de Paris, pr sent e la facult de Lettres
la Sorbonne, Leipzig. p. 1903
추천자료
일본의 문학
대학의 성립과 한국의 근대화
중국과 일본의 한국의 역사왜곡
일본의 경제 구조 형성과 경제발전에 있어서의 일본적 특질
[사회복지]한국과 일본의 사회복지제도 발전과정과 특징에 관한 비교
일본 정부관료제의 내부적 특성
[형태론][형태론 분석][근대국어 파생형용사에 대한 형태론][현대국어 오오체어미에 대한 형...
근대 국어의 음운 현상 - 원순모음화(圓脣母音化) 현상에 대하여
일본 사회복지
초창기 일본의 사회주의자들이 지녔던 내재적 한계성
[일제역사, 일제강점기역사]일제역사(일제강점기역사)와 식민지근대화론, 일제역사(일제강점...
[식민지시대]식민지시대(일제시대, 일제강점기)의 자본주의화, 재일조선인, 식민지시대(일제...
일본 고전 문학사 개요 (日本 古典 文學史 槪要)
경제학 입문 -시대적 변천에 따른 경제학의 흐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