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어말어미에는 후행한다. 의도법의 선어말어미가 이들 어말어미들에 선행하면 화자의 강한 의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게 된다.
3.2 의도법의 의미기능
전형적인 후기 중세국어에 속하는 의도법의 선어말어미 '-오/우-'는 활용형에서 이것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서론
Ⅱ.본론
1.선어말어미 ‘-오/우-’의 구별
2.용언의 활용에 따른 ‘-오/우-’의 기능
1)종결형․연결형의 경우
2)관형사형의 경우
Ⅲ.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의 문법체계와 비교해 볼 때 간소화, 즉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체계의 지향이 가장 뚜렷한 특징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선어말어미 \'-오/우-\'가 없어졌으며 경어법도 중세국어의 존경법, 겸양법, 공손법의 체계가 존경법과 공손법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