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말어미와 융합되어 쓰이게 된 사실과 이들 어미와 \'-다-\'가 갖는 서열상의 불일치를 배재하려는 현상에 말미암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안병희 이광호,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9
2.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 탑출판사, 199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pp239~49를 요약정리하였음
.
2. 정동사 어미
정동사 어미 곧 종결어미는 화자의 태도, 곧 敍法에 따라 설명, 감탄, 의문, 공동, 명령, 허락, 약속의 일곱 종류로 나뉜다.
2.1. 설명법 어미
설명법 어미는 ‘-다’이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助詞)
☐ 중세국어 조사의 변이양상
☐ 중세국어 조사의 갈래
☐ 격조사
(1) 주격조사
(2) 서술격조사
(3) 목적격조사
(4) 소유격조사(속격조사)
(5) 처소격조사(처격조사)
(6) 호격조사
☐ 접속조사
☐ 보조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는 ‘ㄹ’받침 아래에서도 ‘와’가 선택되었다. (곳/옷, 가/아 도 마찬가지)
<조사의 갈래와 격조사>
<조사의 갈래>
중세국어의 조사 갈래 ; (중세국어에서도 현재와 마찬가지로)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조사 ┰ 격조사 -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문법 시간에 배울 것으로 생각하고 자세히 다루지는 않겠다.
3. 맺으며
- 이상으로 중세 국어의 특징(그 중에서도 후기 중세국어)과 시대적 배경이 (후기)중세인 드라마 \'대장금\'의 대본과 배우들의 연기에 있어서 발음상의 문제등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