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2. 2 서술어
<서술어의 성립>
이라
ㅣ라
Ф라
자음 뒤에
i, j를 제외한 모음
i, j 모음 뒤에
◎서술어는 모든 활용형에 의해 두루 표시된다.
1. 활용어의 종결형
◎서술격조사 종결형이 체언에 붙어 서술어가 되게 한다.
⇒文은 글와리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사(助詞)
☐ 중세국어 조사의 변이양상
☐ 중세국어 조사의 갈래
☐ 격조사
(1) 주격조사
(2) 서술격조사
(3) 목적격조사
(4) 소유격조사(속격조사)
(5) 처소격조사(처격조사)
(6) 호격조사
☐ 접속조사
☐ 보조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에서도 앞의 명사의 경우와 같이 이런 틀을 만들 수 있다. ‘므스기 엇뎨다’ 의 ‘엇뎨다’ 에 맞으면 동사가 되고 ‘므스기 엇더다’에 맞으면 형용사가 된다.
2. 동사
(1) 중세어도 목적어의 있고 없음에 따라 자동사와 타동사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말의 일로 보인다. 그것은 이 선어말어미와 비슷한 형태의 \'오/우\'를 가진 어말어미 \'-옴/움\'등에서 \'오/우\'가 탈락한 것이 16세기 말인 사실에서도 보인다.
(18) 음탕힝면 어딜믈 닛고 (小諺四, 45)
져은 아힝링 까링치되 (小諺五, 2)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 국어문법론」(개정판), 집문당.
安秉禧(1982), “주체겸양법의 접미사 「--」에 對하여”, 「震檀學報」8.
이숭녕(1981), 「중세 국어문법」, 을유문화사. Ⅰ. 머리말
Ⅱ. 본문
1. 경어법
2. {삽}의 변동
3. ( 月印釋譜 卷八 92 이하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